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쌀의 역사

by 쉼표 하나 2007. 4. 16.
반응형
 쌀의 역사

쌀은 세계에서 밀 다음으로 많이 나는 곡식으로 세계 쌀 생산량의 92.4%가 아시아에서 나며,
아시아에서 생산되는 곡식의 70%가 쌀입니다.
우리 나라는 몬순기후 지역이므로 농사철인 여름에 비가 많고 고온 다습하여 벼농사가 발달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벼의 원산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학설이 있지만 인도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시아 반도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베트남의 메콩강 델타의 습지에서는 야생벼가 자라는데 농부들은
배를 타고 이 습지를 누비며 긴 장대끝에 낫을 달아 벼를 거두어들입니다.
인도, 베트남, 타이, 미얀마, 말레이지아의 야생벼는 점차로 경작벼가 되어 동쪽으로는 중국,
필리핀, 대만, 한국, 일본으로 전파되고, 태평양을 건너 미국의 캘리포니아를 비롯한 몇 주와
브라질, 에콰도르, 아르헨티나, 칠레까지, 서쪽으로는 이탈리아와 스페인으로, 남쪽으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북부로, 북쪽으로는 흑해 연안까지 경작이 뻗어 나갔다고 보기도 합니다.
우리 나라에서 벼의 경작이 시작된 것은 고조선 후기로 짐작되며 삼국 시대만 해도 쌀은 주식까지
는 못 되고 장려되는 단계의 작물이었다고 합니다.
 
 
벼의 명칭
- 학명(學名) : Orysa sativa L.
- 영명(英名) : rice, Paddy rice, Paddy-field rice
- 한명(韓名) : 선(벼, 나락)


벼의 분류

- 벼는 식물분류학상 Orysa(벼) 屬중에서 sativa 種에 속합니다.
- 벼屬의 種名은 약 20~30種이 야생종으로 분포합니다.
- 그 중 재배벼는 2종 뿐으로 그 중 하나는 아시아에 기원을 둔 O.Sativa.L. 이고, 다른 하나는
   아프리카 원산인 O.glaberrima.Steud(서아프리카의 기니만 연안, 니제르강 연안의 차드호
   부근에서만 재배되고 있는 원시적인 벼)입니다. 


벼의 품종군 분류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는 수만의 벼 품종(O. Sativa. L.)을 크게 나누면 인도형 (Indica Type, 선)과 일본형(Japonica Type, 경) 및 자바형(Javanica Type)의 세가지 품종으로 분류됩니다.


품종군별 재배지역

- 인도형은 대륙형으로 인도대륙, 인도지나 등에서 재배됩니다.
- 일본형은 온대형으로 한국, 일본 등 온대지역에서 재배됩니다.
- 자바형은 열대형으로 자바지역에서 재배됩니다.


벼 품종군의 주요특성 비교(Takahash : 1986)

  종 실 생리적 특성
벼알 모양 까락 탈립 정도 저온 저항성 내한성 페놀 반응
인 디 카(인도형) 가늘고 김 없음 잘됨 착색
자포니카(일본형) 짧고 둥근모양 없음 안됨 무착색


우리나라의 벼 재배 역사

1. 벼재배 발상지(起原)
- 인도 기원설 : 오리사, 하라파 유적에서 발굴된 벼 (약 4,000년 전)
- 동남아 기원설 : 태국 중심 (약 5,500년 전)
- 중국 기원설
  양자강 유역인 하모도 유적지에서 발굴된 탄화미(炭化米) -약 7,000년 전
  황하강 유적지에서 발굴된 탄화미-약 5,200년 전
2. 우리나라의 벼 재배
- 1991년 6월 경기도 고양군 일산읍 가와지 유적지의 신석기시대 토층에서 4,340년 전인
   B.C 2,300년 경의 자포니카 볍씨 4개 발굴
- 1991년 5월 경기도 김포군 통진면 가현리의 지하에 퇴적된 이탄층에서 신석기 시대,
   4,100년전인 B.C 2,100년 경의 자포니카 볍씨가 발굴되어 우리나라 벼농사는 4,300년 전에
   이미 시작된 것으로 추정


벼(나락)와 쌀의 어원(語原)
1. 인도말 "브리히"가 벼, "니바라"가 나락의 어원인 것으로 추정
2. 쌀은 고대 인도어인 "사리"가 어원으로 퉁구스에서 "시라"로 우리나라에서는 "쌀"로 단축된
    것으로 봄 (충청도 이남지방은 "나락", 그 이북지방에서 "벼"라고함) 
3. 조선조 후기 "동이록"에 벼를 "라록"이라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신라시대 관리들의 급료를
    벼로 주었기 때문으로 신라의 봉록이라는 말에서 나온 "나록"이 "나락"으로 변천되었다는
    일설도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